모르는 사람들은 버릇 없다고 생각하는 충청도 사투리


냐 ㅇㅇ
뭐 건네줄때 하는 추임새임
야라고 들리기도 해서
뭐지? 내가 윗사람인데?
대뜸 야라고 하네?
싸가지없이???
하고 놀랄 수 있으나
표준말로 하면
"나 거기 가위 좀 줄래?"
"자 여기"
의 '자'같은 뜻임
물론 찐 나이차 많은 어른들한테는
냐! 이거 안함!
가족 간이나 친구
친한 선후배나 아는 사이
등등 말 편하게 쓰는 사이에서 쓰는 말!
선배: 뫄뫄야 거기 볼펜 좀
나: 냐~
사촌언니: 뫼뫄야 그것 좀 이리 줘
나: 냐~
선배:.....야?
사촌언니: 언니한테 야?
이런 경우가 왕왕 있는데
결코 반말로 야라고 한거 아님!
어른들한테 쓸때는
외삼촌: 뫄뫄야 거기 집게 좀 다오
나: 여기요~
라고 그냥 표준말로 말하거나
끝맺을 유로 하는 사투리를 쓰기도
하는 지역에선
"야유~"
"자유~"
라고 말하기도 함
"거 접시 좀 이짝으로 줘봐"
"야유"
이런식
(즈에발 충청도분들 우린 유~ 하는
사투리 없다고 역정 내지 마슈...
젊은 당신들이 안쓴다고
없는 사투리 아니어유 ㅜ
그리고 충청남도냐 북도냐의
차이도 있고 그 안에서도 바닷가 쪽이냐
내륙이냐 등등 차이 엄청 나서
안 쓰이는 말이라고 단정하면
오히려 충청도 사투리 후려치기유...
유자 쓰는 사람들은 써유 씁니다유 ㅠ)
이제 누가 뭘 건네줄때
야라고 하는 거 같으면 혹시
충청도 사람이냐고 물어보자 ㅇㅇ

댓글 0
이슈&유머
돼지들 콘푸로스트 먹을때 공감

사람 피말리게 한다는 어른들 화법.twt

카리나의 유일한 신체결함.jpgif

겨울철 강아지 특징.jpg

삼합회 간부 딸래미라는 홍콩 출신 배우

"한국의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금지 풀어달라”…美업계, 트럼프에 호소
퇴사 하지말고 버티라는 중소기업 갤러...JPG

당신의 닉네임이 소원 하나 들어줍니다

정신과 의사가 알려주는 진짜 자존감

???: 상추 겉절이와 얼갈이 된장국, 파전이 먹고싶다. 한식을 준비해달라

인생에서 가장 값진 첫경험...gif

아기냥이 출생 후 2주간의 성장과정.gif

실수로 피임약 먹은 디시인

우울증을 없애기 위한 가장 한국다운 해결책

애슐리에서 꾸준히 인기 많은 메뉴.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