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지 변동금리가 더 떨어질 예정... 5월 COFIX 0.07%p 하락 (요약)


# 한국의 COFIX, 2.63%로 감소; 거의 3년 만에 최저치
한국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는 COFIX가 8개월 연속 하락하며 대출자에 대한 차입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6일 한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월 신규 대출 잔액을 기준으로 한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는 연 2.63%로 떨어져, 4월의 2.70%보다 0.07% 포인트(p) 하락했습니다. 이는 2022년 6월 2.38% 이후 최저 수준이며, 작년 10월 이후 지속적인 감소로 거의 3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미지급 대출 잔액을 기반으로 한 COFIX도 3.22%에서 3.14%로 하락하며 0.08%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 COFIX 변동 이해하기
COFIX는 한국의 8개 주요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 평균 금리입니다. 이는 정기 예금, 적금 계좌, 은행 채권 및 기타 예금 수취 상품과 같은 자금 조달 상품의 금리 변동을 반영합니다. COFIX가 하락하면 은행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COFIX가 상승하면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함을 나타냅니다.
더 구체적으로, COFIX 계산은 정기예금, 정기적금, 공동 적립식 저축, 주택 적립식 저축,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커버노트, 은행채권과 같은 상품의 금리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후순위채권과 전환사채는 제외됩니다.
2019년 6월 도입된 “신규 잔액 기반 COFIX”도 0.05% 포인트 소폭 하락하여 2.76%에서 2.71%로 떨어졌습니다. 이 버전은 전통적인 예금 상품뿐만 아니라 기타 예금, 대출 및 정산 자금의 금리를 포함합니다.
#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에 미치는 영향
6월 17일부터 은행들은 변동금리 주택 대출에 대해 새롭게 공표된 COFIX 금리를 채택했습니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의 경우 신규 대출 잔액에 연동된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금리가 현재 4.02%에서 5.42%로, 이전의 4.09%에서 5.49% 범위에서 감소했습니다. 한편,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하는 전세자금 대출 상품의 금리는 3.76%–5.16%로 하락했으며, 3.83%–5.23%에서 줄어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은행은 신규 COFIX 잔액에 연계된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4.01%–5.51%에서 3.94%–5.44%로 인하했습니다.
COFIX 금리의 지속적인 하락은 대출 비용에 대한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한국의 부동산 시장을 탐색하는 차입자들에게 약간의 완화가 될 수 있습니다.
hanjh@yna.co.kr
원문: https://eblock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