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를 갚고 나니 남는 돈이 없다… 가계 부채가 소득의 1.7배.


# 한국 가계부채 소득 비율, 세계 주요국보다 훨씬 높아 소비 회복 저해
서울—최근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가계부채 소득 비율이 주요 경제국들을 훨씬 초과하여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높은 부채 부담은 민간 소비를 억제하며, 이는 국내 수요 정체의 악순환을 perpetuating 한다.
홍남기 의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한국 가계 및 비영리 기관의 금융 부채 대 가처분 소득 비율은 174.7%에 달했다.
금전적 측면에서 가처분 소득은 1,356.5조 원이었고, 금융 부채는 2,370.1조 원에 이르렀다. 여기서 가처분 소득은 세금, 사회보험 기여금, 대출 상환과 같은 비소비적 지출을 공제한 후 가계 및 민간 비영리 조직의 순소득을 의미한다. 한편, 금융 부채는 한국은행의 자금 흐름 통계에서 비토합기준으로 계산된 가계의 시장 가치 부채를 나타낸다.
# 가계부채 동향: 비율의 점진적 감소, 그러나 지속적인 우려
최근 추세를 살펴보면, 부채 대 소득 비율은 2021년 말 194.4%로 정점에 달했다가 2022년에 191.5%, 2023년에 180.2%, 2024년 말에는 174.7%로 감소했다. 비율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위험 수준이 매우 높다.
2023년 동안 가계부채는 2,316.9조 원에서 2,370.1조 원으로 2.3% 증가하였다. 하지만 가처분 소득은 5.5%라는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1,285.8조 원에서 1,356.5조 원으로 상승하여 비율을 낮추었다.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계부채 소득 비율은 거의 모든 다른 선진국을 초과하고 있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말 한국의 비율은 186.5%(잠정치)로, 스위스(224.4%), 네덜란드(220.3%), 호주(216.7%), 덴마크(212.5%), 룩셈부르크(204.4%)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비해 한국의 비율은 미국(103.4%), 일본(124.7%), 독일(89.0%), 영국(137.1%), 프랑스(121.4%)와 같은 주요 경제국들을 압도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82.0%로 가계부채 측면에서 가장 보수적인 나라 중 하나이다.
# 구조적 도전이 소비 회복을 제한하다
경제 분석가들은 높은 가계부채 수준이 소비를 억제하고 국내 수요를 저해하며 경제 성장을 둔화시킨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은 9월 29일 기자회견에서 민간 소비 성장률이 올해 1.1%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계부채와 같은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1.6%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내년 11월 12일 중앙은행 창립 기념 연설에서 주택에 대한 투기성 투자를 억제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과도한 부동산 투자로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과거의 관행은 끝나야 한다"고 재차 강조하였다.
비슷하게, 노무라 증권의 경제학자인 박정우는 2023년 5월 보고서에서 "부채 상환 및 이자 비용 상승이 가계의 구매력을 구조적으로 훼손시켜 소비 회복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 정책적 함의 및 향후 전망
차귀근 의원은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실제로 부채 감소가 일어난 것은 2023년”이라며 정부가 주택 관련 자극책과 같은 부채 확대에 의존하는 정책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정부가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가계부채 수준을 안정화할 수 있으며, 행정부가 레버리지 기반 경제 회복 전략에 heavily 의존하려는 유혹을 저항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OECD의 32개 회원국 중 한국은 가계 재정 부담 측면에서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에 있어 아시아 최대 경제국 중 하나에서 소비 주도 성장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원문: https://eblock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