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환율이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 완화 속에 정체되어 1,440원 바로 아래로 마감했다.


# 달러-원 환율, 미중 무역 긴장 완화 속 1,440원 접근
(뉴욕=연합뉴스) 최진우 기자 – 달러-원 환율이 미중 무역 긴장 완화 조짐 속에 시장 활동이 둔화된 가운데, 자정 무렵 거래에서 1,440원 수준에 근접해 마감했다.
10월 26일 오전 2시 KST 기준으로 달러-원 환율은 1,439.80원으로, 전날 서울 시장 마감가보다 4.80원 상승했다. 낮 시간 거래(오전 9시–오후 3시30분)의 이전날 공식 마감가인 1,436.50원에 비해 3.30원 상승했다.
# 환율, 미중 관세 동향에 영향받아
환율은 뉴욕 거래 중 달러가 미중 무역 긴장 완화 소식에 반등하면서 1,440원에 도달했다.
CNN과 중국의 차이신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은 최근 미국산 반도체 8종에 대한 125% 관세 인상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에는 메모리 칩은 제외된다. 또한 중국은 에탄 및 의료기기와 같은 산업 화학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타임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시 주석이 10월 22일 개인적으로 자신에게 전화해, “모든 협정이 다음 3주에서 4주 안에 발표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표시했다”고 말했다.
# 제한된 새로운 개발로 인한 시장 움직임 영향
뉴욕에서 거래 중 더 이상의 시장을 움직일 만한 주요 개발이 없었지만, 트럼프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백악관을 떠나기 전 시 주석과의 통화를 확인했다. 그러나 그는 “적절한 때에 알려주겠다.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는지 지켜보자”고 말하며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않았다.
워싱턴과 베이징 간의 무역 긴장이 감소하는 가운데,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한국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USTR은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의 발언을 인용하며 양측이 “상호 이익을 위한 균형 잡힌 무역 관계를 위한 신속하고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에 전념하고 있다”고 전했다.
# 달러-원, 일중 변동성 보여
달러-원 환율은 일중 최고 1,443.30원에 도달했으나, 후반 거래에서 미국 국채 수익률 하락에 따라 약 1,440원으로 후퇴했다.
크레디트 아그리콜의 수석 전략가인 에디 청은 “미중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장벽은 여전히 매우 높다”며 “상황은 여전히 매우 변동성이 크고, 헤드라인 뉴스에 의해 급속히 변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교차환율 및 지역 통화
10월 26일 오전 2시 50분 KST 기준으로, 달러-엔 환율은 143.550엔, 유로-달러 환율은 1.13780달러에 거래되고 있었다. 오프쇼어 달러-위안(CNH) 환율은 7.2861위안으로 기록되었다.
엔-원 교차환율은 100엔당 1,000.82원, 위안-원 환율은 197.29원이었다.
거래 세션 동안 달러-원 쌍의 일중 변동성은 최고 1,444.30원에서 최저 1,430.90원으로, 총 12.40원의 변동 범위를 보였다.
# 거래량
서울 외환 중개업체와 한국 자금 중개업체의 결합된 현물 외환 거래량은 자정 무렵 거래에서 총 147억 7천만 달러에 달했다.
jwchoi@yna.co.kr
원문: https://eblock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