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폭탄이 환율 혼란을 일으키다... 정부의 외환 방패인 외환 안정 기금이 고갈되다.

# 한국의 외환 안정화 기금, 수익 부족에 따른 축소
한국의 외환 안정화 기금(ESF)은 외환 변동성에 대한 주요 완충 장치로서, 대규모 세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난 2년 동안 상당한 감소를 경험했다. 유동 자산의 축소는 통화 안정화 능력이 약화된 것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경제부에 따르면, ESF의 유동 자산은 2023년 말 기준으로 94.5조 원에 달하며, 이는 전년도 110.2조 원에서 14% 감소한 수치이다. 이는 기금의 최고 수준에서 눈에 띄는 축소를 의미하며, 비평가들은 재정 조치가 기금의 주요 목적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외환 안정화 기금의 역할
ESF는 통화 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한국 원화가 급격히 상승할 때, 이 기금은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를 구매하여 상승하는 환율을 억제한다. 반대로, 가치가 하락하는 시기에는 기금이 달러 보유액을 판매하여 원화를 구매하여 변동성을 안정시키려 한다.
ESF는 유동 자산, 비유동 자산, 투자 자산으로 나뉜다. 유동 자산은 주로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한국 원화와 미국 달러로 보유되고 있으며,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개입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다.
“유동 자산은 위기 상황에서 외환 관리의 가장 즉각적인 도구로 작용한다”고 한국 공공 재정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 이상민이 말했다. "유동 자산의 감소는 정부가 통화 변동성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 수익 적자를 보전하기 위한 기금 전용
ESF 자원의 감소는 한국 정부가 2023년과 2024년 세수 부족을 메우기 위해 ESF를 포함한 다양한 기금을 활용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경제부는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약 4조에서 6조 원을 ESF에서 활용했으며, 추가로 2023년에 20조 원을 차입하여 수익 격차를 메웠다.
국회 예산처는 이러한 관행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ESF를 사용하는 것은 외환 시장 안정화를 위해 마련된 자원을 침식시켜 금융 안정성의 위험을 높인다”고 밝혔다.
한국 공공 재정 연구소의 분석가들은 공공 자금 차입금의 조기 상환으로 인해 ESF의 유동 자산이 이미 64조에서 69조 원으로 감소했다고 추정했다.
# 강한 달러로 인한 압박 증가
ESF에 대한 압박은 미국 달러의 지속적인 강세로 인해 더욱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ongoing global macroeconomic conditions에 의해 일부 추진되고 있다. 3월 31일 기준으로 원-달러 환율은 1,472.9원으로 마감했으며, 이는 2009년 3월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거의 최고치인 1,483.5원에 필적하는 수치이다.
한국이 외부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만큼, 외환 시장의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ESF가 유지해야 할 유동 자산의 양에 대한 고정된 기준은 없다”고 이가 말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기금의 최근 감소가 의도적인 외환 정책 때문이 아니라 세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재정 조치 때문이라는 데 동의한다. 이는 금융 불확실성을 높인다.”
# 비판 속에서 기금 관리 옹호하는 관계자들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경제부는 기금의 운영이 안정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ESF 잔액의 최근 감소는 불필요하게 축적된 잉여 원화를 정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라고 한 부처 관계자가 말했다. “기금은 신중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그 안정성은 유지되고 있다.”
재정 자원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 정부는 2023년에 원화 표시 외환 안정화 채권(ESB) 발행을 재개했으며, 이는 22년 만의 첫 발행이다. 2003년 이후 이러한 채권은 공공 자금 관리 기금(PFMF)의 예치금으로 대체되었다. 올해 ESB 재도입은 정부가 자금 출처를 다양화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재정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축소되는 ESF는 외환 안정성과 세수 문제 해결 간의 균형에 대한 논의를 다시 불러일으켰다. 원-달러 환율이 변동성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강력한 재정 완충 장치를 유지하는 것은 한국 경제 정책 입안자들의 최우선 과제이다.
원문: https://eblock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