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마감] USD-KRW, 미국-중국 협상 중단 속에 수익 감소… 1,432.80원에 마감


# 달러-원 환율, 무역 협상 불확실성 속 1,432원에서 마감
(뉴욕, 연합뉴스) 최진우, 연합뉴스 인포맥스 기자 — 달러-원 환율이 밤사이 거래에서 이전의 상승폭을 줄이며 1,432원에서 마감했다. 이러한 조정은 중국 측이 미국과의 무역 문제에 대해 논의나 협상을 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미국 달러에 하향 압력이 가해졌기 때문이다.
25일 오전 2시(한국시간) 기준으로 달러-원 환율은 1,432.80원으로 거래를 마감하며, 이전 서울 외환시장 종가보다 12.20원 상승했다. 그러나 이는 정규 거래시간(오전 9시~오후 3시 30분) 중 장중 종가인 1,435.00원에 비해서는 2.20원 하락한 수치다.
런던 거래시간 중 달러-원 환율은 1,440.30원까지 상승했으나, 미-중 무역 협상에서 제한적인 진전이 보도되면서 뉴욕 세션으로 넘어갈 때까지 1,435원 수준으로 후퇴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인 과오지안은 "내가 아는 한 양측 모두 관세 문제에 대한consultations나 협상을 하지 않았으며, 협의에 도달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중국과의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주장했던 것과 대비된다. 트럼프는 같은 날 "오늘 아침 우리는 중국과 회의를 가졌다"고 재차 강조했다.
달러-원 환율은 주요 연방준비제도 인사들의 발언 이후 상승 모멘텀도 감소했다.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장인 로레타 메스터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6월에 금리 인하를 배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메스터는 "6월에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데이터가 제공되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알게 된다면, 위원회가 금리를 조정할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한국의 금융 및 무역 정책 결정자 간의 "2+2 무역 협의" 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양측은 약 1시간 8분 동안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지며, 미국의 관세에 대한 기본 입그리 확인하는 데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한 국내 상업은행 관계자는 "오후에 대만 보험사들이 상당한 매수청산을 진행했다. 이 영향이 이후 거래 시간에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Corpay의 수석 시장 전략가인 칼 샤모타는 "미-중 무역 갈등 해빙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작한 초기의 상승세가 현재 당국의 상반된 신호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며 주춤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전 2시 26분 기준으로 달러-엔 환율은 142.821엔, 유로-달러 환율은 1.13700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오프쇼어 달러-중국 위안(CNH) 환율은 7.2909위안으로 기록되었다.
엔-원 교차 환율은 100엔당 1,002.94원, 위안-원 환율은 196.48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달러-원 환율은 장중 1,440.30원의 고점과 1,426.50원의 저점을 기록하며 13.80원의 거래 범위를 보였다. 서울 외환중개소와 한국 자금중개소에 따르면, 야간 거래를 포함한 전체 현물 외환 거래량은 137억 3,500만 달러에 달한다.
jwchoi@yna.co.kr
원문: https://eblock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17957